본문 바로가기

슬기로운 음향 생활/생활 이론

성가대 마이크 설치 방법

성가대 마이크 설치

어느 교회에 방문했을때 성가대 소리가 크고 굉장히 잘 들려 좋았는데, 왜 내가 다니는 교회는 성가대 소리가 작고 초라할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사실 이것은 최고가의 장비을 고집하여 그런 것이라고 볼 수 없고 장비가 그렇지 못함에도 성가대 소리가 훌룡한 교회들도 많이 있기 때문이다. 단지, 음향시스템 운용에있어 원칙적이고 보편적인 부분들을 얼마나 잘 지켜냈는가에 따른 차이가 있을 뿐이다.

성가대 마이크 수음에 있어 그 원칙과 보편적인 부분들은 어떠한 마이크를 사용하는가, 마이크의 위치가 어떠한가 그리고 몇가지 레벨 설정들이 어떻게 되어 있는가가 중요하다.

 

 

 

 

 

성가대 마이크 오퍼레이팅(Operating) 팁

 성가대 위치가 강대상을 바라보고 좌측 혹은 우측에 위치해 있을 경우(성가대 마이크가 2포인트 이상일때)

 이 경우에는 대체로 좌우 패닝으로 스테레오 효과를 주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 메인스피커 바로 아래 있는 성가대 마이크의 레벨을 FEEDBACK 일명, 하울링 접점에서 안정권으로 운용하고 반대편으로 패닝하는 마이크레벨은 약간의 마진이 있으니 비슷하게 안정권으로 Gain(게인)을 올려줍니다. 이런 방식으로 높은 레벨을 얻어 낼 수 있습니다.

 

 성가대가 강대상 중앙 또는 중앙 위쪽을 바라보는 경우(마이크 2포인트 이상일때)

메인스피커와 거리가 있어 조금의 여유를 얻어낼 수 있으나, 메인이 포인트소스 라인 어레이 스피커일 경우에는 그냥 원칙적인 오퍼레이팅으로 게인값을 얻어내길 권장드립니다.(EQ조절, FEEDBACK Destroyer 활용)

 

어떤 마이크를 선택 할 것인가?

 다이나믹 마이크와 컨덴서 마이크는 알다시피 특성 자체가 다릅니다. 다이나믹마이크는 클로징 마이킹(가깝게 수음)에 유용하며 컨덴서 마이크는 Distance 즉, 거리가 떨어진 마이킹에 유리합니다.

 마이크의 폴라패턴도 중요한 부분이고 일반적으로 카디오이드 스타일을 주로 사용하지만, 솔로이스트를 위해 가끔 초지향성 마이크를 운용하기도 합니다.

 

 

Cardioid 패턴

 

 보편적으로 SHURE사의 MX202C, Audiotechnica PRO45 등의 행잉용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층고가 높아 설치가 불가능하다면 AKG C451B 같은 펜슬형 콘덴서마이크를 마이크 스탠드 끼워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왼쪽에서부터 MX202C, PRO45, C451B

 

 

마이킹을 어떻게 할 것인가

 

 

 

출처 Shure blog

 

 

 마이크 제작사에서 공식적으로 올려둔 셋업방법입니다. 행잉방식은 엘레베이션 설치가 아닌 이상 층고가 낮아야 깔끔하기 때문에, 스탠드형식으로 적용을해도 기본적인 이론은 같습니다. 마이크 지향 지점에 있어 명확해야하며, 음압중심이 명확한 경우 지향포인트로 잡아 향해줍니다. 

 

 기본적으로 모두 비슷하게 세팅을 하지만, 마이크 제조사마다 조금씩은 다른 패턴과 음특성이 있기에 성가대(Choir)전용 마이크로 나온 제품이라면 제품 메뉴얼을 보고 셋업 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https://www.sweetwater.com/insync/how-to-mic-choir/

 

각기 다른 마이크의 특성과 음 세팅에 따른 소리를 들어보실 수 있는 사이트를 첨부하며 글을 줄입니다.